반응형

산토리니 티라 유적지는 검은해변으로 유명한 까마리 비치 뒷편에 있는 거대한 산 위에 위치해있다.

해발 567m의 메사보노 산에 위치해있는데 해발 567m라고는 하지만 차타고 올라가면 훨씬 높게 느껴진다. 차로 꼬불꼬불한 길을 올라가면 산 꼭대기에 천혜의 요새처럼 티라 유적지가 펼쳐진다.

이곳은 BC9세기부터 비잔틴시대까지 1400여년간 화려한 문명을 자랑한 곳이다.

그러다가 흥망성쇠를 거듭하다 화산 폭발 때 유적 자체가 사라졌고 1939년 화산재에 뒤덮힌 도시가 발굴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아크로티리 유적 그리고 티라 유적을 보면서 이 지역의 화산폭발이 얼마나 거대했는지 궁금해서 유투브로 다큐멘터리를 찾아봤다. 

그 중 가장 잘 설명한 다큐멘터리...

좀더 심도있는 내용, 산토리니 섬이 화산활동으로 인해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잘 보여주는 내용이다. 


꼬불한 길을 따라 올라가면 저런 아름다운 광경이 펼쳐진다. 화산 폭발로 세워진 가파른 산이기에 올라갈수록 펼쳐지는 뷰가 다르다.

꼬불한 길을 달려 주차장에 도착했다.

주차장에서 10여분 정도 가벼운 산행을 해야 고대 도시 티라에 도착할 수 있다.


산정상에 위치하고 있어서 바람이 엄청 세게 분다. 속이 뻥 뚤릴 정도로 강풍이 분다.

바람도 좋고 경치도 좋아서 패러글라이딩이 있으면 저 밑으로 뛰어 내리고 싶을 정도이다.

그 옛날 도리안인들은 이 도시에 살면서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


해뜨는 모습과 해지는 모습이 보이고 사방으로 배가 다니는 곳이 보이는 이곳은 천혜의 요충지였을 것이다.

이곳은 성 Castle처럼 높은 사람들만 사는 곳이고 대부분의 식료품과 물품들은 저 밑의 마을에서 소작농들이 갖다 바치지 않았을까?

티라 유적지는 많이 파손되었지만 고대 도시의 형태는 잘 보존되어 있다.

어디가 집이고 어디가 운동장이고 어디가 공연장인지 잘 구분할 수 있다.

아래는 초입에 있는 성스테파노 성당.

내부는 초라했음.

여기는 지하 상하수도 시설을 보여주는 곳이었던 것 같다. 기본적으로 수로가 잘 정비되어 있고 골목 골목 계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는 프톨레미아 제국 군사들이 주둔하였던 곳이었고 이들의 연병장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이 고대 유적지의 도시 계획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광장, 목욕탕, 일반 가옥, 관공서, 군 훈련장 등등이 구역별로 잘 구성되어 있다.

옛날 도리아인, 이집트 프톨레미아 왕조, 로마시대, 초기 기독교 시대, 비잔틴 시대의 유물이 고스란히 간직한 이곳은 아름다운 풍광과 더불어서 역사의 깊이를 느끼게 한다.


반응형
반응형


산토리니 여행 일정을 넉넉하게 잡다보니 산토리니 구석 구석을 다 돌아보게 되었다.

휴양지로만 알고 있었던 산토리니가 역사적으로 볼 것이 많다는 것을 알게 해준 곳이 있는데 하나는 티라 유적이고 다른 한 곳은 아크로티리 유적이다.

여기가 단순히 휴양섬이 아니라 예전에는 문명의 발상지였으며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곳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아크로티리는 화산폭발로 사라져버린 청동기 유적지이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아래 유투브 영상 참고


유적 복원지는 유료입장이다.

아크로티리 유적을 들어가니 첫번째 드는 생각은

"참 정성스럽게 조심스럽게 복원을 하는구나"라는 생각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돌 하나 하나 흙벽 하나 하나 조심스러운 검증을 통해 재현을 한 흔적이 보인다.



이렇게 조심스럽게 세밀하게 복원중인 모습을 보니 시멘트를 쳐바른 미륵사지 9층 석탑이 생각이난다.

유적지 내부를 걷다보면 과거 청동기 시대 때의 도시의 모습이 연상이 된다. 

의외로 가정집의 모습이 잘 복원되어 있었다. 가정집의 모습은 현대의 서양 가족 구조 혹은 중동의 가옥 구조와 비슷했던 것 같다.

화산폭발로 갑자기 사라진 도시라 그런지 복원했을 때 옛 모습이 잘 드러나는 것 같다. 

언제 복원이 완료될지 모르겠지만 완료된다면 다시 와서 옛 청동기 시대의 도시의 모습을 보고 싶다.

유적지를 나와서 따뜻한 날씨에 늘어져 있는 개와 놀았다. 너무 순한 개라서 한참 쓰다듬고 장난을 쳤다.

아크로타리 유적지를 나와서 5분 정도 차로 이동을 하면 붉은 해변이 나온다.

사진이 그 신비한 색감을 담아내지 못해서 그렇지 직접 눈으로 보면 신비한 붉은 색감이 해변을 덮는다.

붉은 해변에 가기 위해서는 주차장에서 고개를 넘어 꽤나 걸어가야 한다.

힘들긴 하지만 경치가 좋아서 재미는 있었다.

붉은 흙으로 덮인 산을 재미로 오르다가 내려가지도 올라가지도 못하고 애들이 낑낑댄다.

결국에는 내가 출동하여 두 아이들을 구해줬다.

붉은 해변의 해변은 검은 모래에 가깝다. 조그마한 자갈들이 몽글몽글 펼쳐져있다.

여름에 오면 딱 좋겠다는 생각이든다. 그래도 물은 차갑지 않아서 발만 담그고 놀았다.

반응형
반응형

산토리니 명물은 당나귀이다.

가파르고 좁은 섬안에서 효과적인 이동 수단은 당나귀이었을 것이다.

특히 척박한 땅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당나귀의 노동력은 꼭 필요했을 것이다.

당나귀를 타기 위해서는 피라마을 구항구 쪽으로 내려가야 한다.

티라 정상에서 피라마을 구항구로 내려가는 길 왕복 모두 당나귀로 이동이 가능하다.

우리는 티라 정상에서 밑으로 내려가는 케이블카를 타고 밑에서 다시 당나귀를 타고 올라오기로 했다.

케이블카는 저렴한 가격에 신속히 내려가기에 좋은 교통 수단이다.

무엇보다 티라 정상에서 보는 뷰가 일품이다.


케이블카를 타고 내려가면 왼쪽에는 티라마을 피라마을이 보인다.


그리고 아래로 내려가면 밑에서 예쁜 건물들을 볼 수 있다. 

하늘과 더불어 멋진 뷰가 펼쳐진다.

드디어 케이블카를 타고 도착.

피라 구항구에서 여유롭게 옛날 항구의 정취를 느껴본다.

저곳은 꽃할배에서 이순재가 돌아다녔던 폐가였던 것 같다.

겨울이라 어지간한 가게는 다 닫았다.

조금만 더 가면 피라 구항구가 나오는데 배는 가끔 다닌다.

여유롭게 폼잡고 계시는 황여사...


애들은 언제 당나귀를 타냐고 성화다.

계단쪽으로 가니 우리가 탈 당나귀가 기다리고 있다.

여기에서도 협상이 필요하다. 무조건 첫번째에 부르는 가격을 그대로 OK하면 안된다.

처음에는 걸어갈 것처럼 무심하게 대하면 계속 따라오면서 가격을 낮출 것이다. 

이렇게 2~3번 정도 흥정을 하고 마지막에 협상이 결렬되어 다시 걸어서 올라가면 더 저렴한 가격을 부른다.

어차피 이 당나귀는 계속 오르락 내리락 할 것이기 때문에 빈 당나귀로 올라가는 것은 손해이다.


당나귀를 탔으니 점심에는 Yellow Donkey 맥주를 마셔줘야 한다.

다시 티라에 있는 레스토랑에 들어가 문어, 파스타, 피자를 시켰다.

특히 식전빵으로 나오는 빵이 너무나 쫄깃하니 맛있었다.

올리브유에 찍어바르니 최고의 맛이 나온다.

산토리니에 와서 올리브유는 원없이 먹는 것 같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올리브유를 배에 주유하면서 돌아다녔던 것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