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노이는 갈 곳이 명확한 지역이라 포인트를 굳이 정하지 않아도 다들 잘 알아서 갈 것 같아.
그래서 우리 가족이 하노이에서 방문한 포인트 위주로 글을 정리해봤다.
1. 호안끼엠호수
Hoan Kiem Lake Location
호수 한 바퀴를 돌면 대략 2km정도 되었던 것 같다.
호수는 야간에 그 아름다움을 더한다. 곳곳에 설치된 조명들 그 아래로 호수를 거닐며 대화하는 사람들, 물건 파는 행상들, 운동하는 사람들로 호수 주변은 밤에도 북적거린다.
저 복장으로 다니면 현지인들이 베트남어로 말을 건다.
2. 하노이 성요셉 성당
St.Joseph's Cathedral
하노이의 성요셉성당은 그렇지 않다. 외벽에서 지나간 세월이 느껴지고 야간에는 백열등 조명아래 고즈넉하고 겸손한 자태를 뽐낸다.
고딕 양식의 중세 유럽 건물로서 베트남어로 나 토 론(Nha Tho Lon)이라고 부른다. 이 성당은 사원을 허물고 1886년에 세워졌으며 사각 탑, 정교한 제단, 화려한 스테인드 글라스로 유명하다. 입구에 성모상이 있다. 현재는 성당 주변으로 근사한 카페와 레스토랑, 부띠끄들이 모여 있어 프랑스의 정취를 느껴볼 수 있다.
3. 수상 인형극
Thang Long Water Puppet Theatre
위치는 호안끼엠 호수 옆에 있고 6시부터 공연을 시작한다.
베트남어로 진행되어서 무슨 뜻인지 전혀 모르나 인형의 움직임으로 보면 대략 어떤 스토리인지는 이해가 간다. 스토리는 별거 없다. 논에 용이 나타나서 승천하고 봄에 남녀가 짝을 이루는 등 지극히 평범한 일상을 그리고 있다.
4.호치민 박물관
호찌민은 베트남 독립의 아버지이다.
일본의 식민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독립운동을 주도했으며
그 이후에는 프랑스 그 이후에큰 미국에 맞써 싸운 국민 영웅이다.
베트민(독립 동맹)을 창당했으며 베트남 공산주의의 아버지이다.
다음백과에서 가져온 호찌민에 대한 글 참고하시길...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19년, 호찌민은 파리평화회의에 참석해 미국의 윌슨, 프랑스의 클레망소 등 강대국의 지도자들에게 〈베트남 인민의 8개 요구사항〉을 제출했다. 그러나 이 안은 철저히 묵살되었고, 호찌민은 제국주의자들이 평화적으로 식민지를 해방시키는 경우는 없다는 뼈아픈 교훈을 얻었다.
그 후 호찌민은 중국으로 건너가 중국 대혁명을 몸소 체험하고, 모스크바 국제레닌학교에서 수학했다. 이때 만난 이들 가운데는 조선의 사회주의 혁명가 박헌영이 있었다. 제국주의의 침탈에 고통받는 식민지 조국을 가진 공통점으로 젊은 혁명가들은 의기투합했고, 깊은 우애를 나누었다. 호찌민은 당시 박헌영이 선물한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평생 머리맡에 두고 읽었다고 한다.
호찌민은 1930년 홍콩에서 베트남 공산당을 창당했고, 1941년 베트남에 돌아와 공산당과 민족 부르주아의 연합전선인 베트남독립동맹(베트민)을 결성했다. 30년 만에 고향땅을 밟은 벅찬 감동도 잠시, 곧바로 일본과의 본격적인 무장 투쟁이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숨을 거두는 날까지 호찌민은 제국주의를 상대로 끝이 보이지 않는 전쟁을 계속했다. 일본에 이어 옛 지배자 프랑스, 마지막으로 20세기의 최강대국 미국이 베트남을 침략했지만 호찌민은 모든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반응형
'Travel Diary > Vietn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바이딘 사원 (0) | 2018.10.16 |
---|---|
[베트남] 현지인이 선정한 하노이 맛집 리스트 (1) | 2018.10.16 |
[베트남] 하노이 힐튼 오페라 하우스 (0) | 2018.10.16 |
[베트남] 닌빈 짱안 투어 (2) | 2018.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