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

[제주도] 제주 4.3 평화 기념관

제주 4.3 사건은 최근에서야 세상 밖으로 나오기 시작한 슬픈 근현대사 사건이다.

내가 학교를 다닐때만 하더라도 여순사건, 4.3사건은 제대로 배우지를 못했고 금기시 되었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 제주 4.3 평화 기념관이 생길 정도로 시대가 변했다.

이제 감추인 것은 없어지고 이제 역사의 평가를 받는 때가 온 것이다.


제주 4.3 사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를 한다.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경찰,서북청년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독선거, 단독정부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이 사건을 균형된 사건으로 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국가가 공권력을 이용해 민간인을 학살하는 것은 분명 잘못되었고 사죄를 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것 자체를 남로당에서 무장봉기했다는 사실도 간과하면 안된다. 

4.3사건의 도화선은 3.1발포사건이라고 한다. 3.1 발표사건은 3.1절 기념 제주도대회가 좌익주도로 정치적 목표로 열기게 된다는 것을 알고 시간행진을 허가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주북국민학교 주변에는 좌익이 동원한 3만명의 군중이 모여들었고 경창은 주변 경비 활동을 하였다. 행사를 끝낸 군중은 가두 시위를 하려는데 이 때에 기마 경관이 탄 말에 어린이가 채여 쓰러졌다. 이를 군중들이 항의하는 과정에서 무장 경찰이 몰려오는 군중을 경찰서를 습격하는 것으로 알고 발포하여 6명이 숨지게 되었다.


미군정은 3·1기념 제주도대회가 좌익의 주도로 미소공동위원회의 재개 촉구와 조직의 정비라는 목표로 열리게된다는 것을 알고 시가행진을 허가하지 않고 행사장소도 제주서비행장으로 하라고 했지만, 제주북국민학교 주변엔 좌익이 동원한 남로당민주주의민족전선민주주의청년동맹부녀동맹인민위원회에서 동원한 17,000명의 군중과 기타군중 8,000명 등 총 3만 명의 군중이 모여들었다. 경찰은 제주 경찰 330명과 육지에서 파견된 응원 경찰 100명 등 430명으로 주변 경비 활동을 하였다.[1][2]

행사를 끝낸 군중은 가두 시위에 들어갔는데, 이때에 기마 경관이 탄 말에 어린이가 채여 작은 소란이 발생하였다. 기마 경관이 어린이가 채인 사실을 몰랐는지 그대로 가려고 하자 주변에 있던 군중들이 몰려들었다. 무장을 한 응원경찰은 몰려오는 군중들이 경찰서를 습격하는 걸로 알고 발포하여 6명이 숨지고 6명이 중상을 입었다

그 이후로 경찰과 제주도민 사이의 갈등은 커져간다. 대대적인 시위가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극우청년단인 서북청년단이 들어온다. 신임 도지사 유해진은 서청을 몰고오고 서청은 도민들을 빨갱이로 규정하여 빨갱이 사냥에 나선다. 

이러한 경찰의 탄압에 저항하고 남한 단독선거 단독정부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남로당 골수당원 김달삼 등 350여명이 무장하여 부장봉기가 시작되었다. 350명의 무장대는 12개 경찰지서와 서북청년회 등 우익단체 단원의 집을 지목해 습격했다.

여기에 우익단체의 처결에 대한 도민들의 반감과 공포가 합해져서 양측 대립으로 제주도 전역을 번져나갔다.

 

폭력은 폭력을 부른다. 

그후 이승만 정부는 대대적인 토벌 작전을 시작한다. 해안선으로부터 5km이상 산간지대로 들어간 사람들은 무조건 폭도로 간주하고 무조건 총살하기 시작한다. 중산간 마을 주민들은 강제로 해안지대로 내려가고 이후에는 무차별한 학살이 시작된다. 진압군은 중산간 마을에 불을 지르고 보이는 사람들은 토벌하기 시작한다.

1949년 3월 제주도지구전투 사령부가 설치되면서 선무작전이 병행되었으며 귀순하면 용서한다는 사면정책에 따라 많은 주민들이 하산하였다. 1949년 5월 10일 재선거가 성공적으로 치러지고 6월에 무장대 총책인 이덕구가 사살되면서 무장대는 해체가 된다. 그러나 그 다음해 6.25전쟁 발발로 보도연맹 가입자와 입산자 가족 등이 대거 예비 검속되어서 제주 계엄군을 맡고 있던 해병대에 학살을 당하고 각지 형무소에 있던 4.3관련자들도 즉결처분되었다. 이 사건은 1954년 9월 21일 한라산이 금족지역이 개방되면서 7년 7개월 만에 막을 내린다.

4.3사건은 3만명 가량의 학살 피해자를 냈다. 토벌대가 파악한 무장대는 500여명이었지만 사망자만 14,000여명에 달하는 비극을 낳았다. 전체 희생자 중 여성이 21% 어린이가 5.6%, 노인이 6.2%를 차지하고 있다.

6.25당시 많은 제주도민들이 우리는 빨갱이가 아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해병대에 자원입대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4.3 사건의 전말을 알게 되니 아름답기만한 제주도가 아름다워서 슬프게 느껴졌다. 

바람이 쌩쌩부는 날씨와 돌밖에 없어서 농사도 지을 수 없는 이 땅이 제주도민에게는 얼마나 가혹했을까?

그나마 아름다운 풍경이 이들에게 위로였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