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카카두의 2번째 날이 밝았다.
첫번째 코스를 어디로 갈까 고민하다가 높은 곳에서 평원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있다고 하길래 Daberrg로 출발.
여기는 애보리진이 그린 벽화 중 가장 그림이 뚜렷하게 남겨져 있는 곳이다.
사람 모양의 형상이 익살스럽게 두 팔을 벌리고 있는 그림은 애보리진 전통 공예품에 많이 볼 수 있는 그림이다.
두번째는 Billabong 투어이다. Billabong은 습지를 뜻하는 말로 여기서는 YellowWater Billabong이 유명하다.
배는 양쪽이 트여져 있고 천막이 햇볕을 가려준다. 강에서 선선한 바람이 불어 그다지 덥지는 않다.
호주 북부의 건기가 Billabong을 구경하기에 제일 좋다. 우기가 되면 물이 엄청 불어서 카카두 일대가 물에 잠긴다고 한다.
이 지역은 Narional Geography나 디스커버리 채널에 많이 나오는 지역으로 야생 다큐멘터리를 찍을 소재가 풍부한 곳이다. 제일 흔한 소재가 악어 사냥.
강길을 따라 자연 상태를 잘 볼 수 있는 시기가 5월에서 8월이니 때는 잘 잡아서 온 것 같다.
악어는 동네 개처럼 흔하게 보인다. 물 안에 나무가지가 떠있는 것처럼 보이는 물체가 있는데 잘 보면 악어가 눈과 코만 내밀고 있는 모습이다.
아이들은 눈앞에서 야생의 악어를 봐서 신기한 모습이다.
카카두 공원에는 위처럼 보이는 탑이 많이 보인다.
나무 밑둥처럼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마른 흙으로 올린 탑이고 꽤나 단단하다.
그리고 그 안에는 조그마한 구멍이 뚫려있고 그 안에는 개미가 돌아다닌다.
그렇다. 이 탑은 개미탑이다.
왜 개미가 땅 속에 집을 짓지않고 탑을 쌓았을까?
그 이유는 우기 때문이다. 우기에는 비가 몰려 오기 때문에 물이 급속도록 불어난다.
대부분의 도로는 침수가 되고 메마른 땅도 늪지로 덮인다.
이러한 우기에 개미는 땅 밑에 살 수 없다.
수장되지 않으려면 위로 집을 지을 수 밖에 없다.
개미탑의 높이가 어른 크기이니 우기 때 강수량이 얼마나 어머한지 짐작할 수 있다.
첫번째 코스를 어디로 갈까 고민하다가 높은 곳에서 평원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있다고 하길래 Daberrg로 출발.
여기는 애보리진이 그린 벽화 중 가장 그림이 뚜렷하게 남겨져 있는 곳이다.
사람 모양의 형상이 익살스럽게 두 팔을 벌리고 있는 그림은 애보리진 전통 공예품에 많이 볼 수 있는 그림이다.
여기는 전망대 구경말고는 특별한 것이 없어서 패스
두번째는 Billabong 투어이다. Billabong은 습지를 뜻하는 말로 여기서는 YellowWater Billabong이 유명하다.
선착장에 배가 기다리고 있고 우리는 미리 예약한 표를 보여주고 승선.
배는 양쪽이 트여져 있고 천막이 햇볕을 가려준다. 강에서 선선한 바람이 불어 그다지 덥지는 않다.
호주 북부의 건기가 Billabong을 구경하기에 제일 좋다. 우기가 되면 물이 엄청 불어서 카카두 일대가 물에 잠긴다고 한다.
이 지역은 Narional Geography나 디스커버리 채널에 많이 나오는 지역으로 야생 다큐멘터리를 찍을 소재가 풍부한 곳이다. 제일 흔한 소재가 악어 사냥.
강길을 따라 자연 상태를 잘 볼 수 있는 시기가 5월에서 8월이니 때는 잘 잡아서 온 것 같다.
크루즈는 천천히 1.5시간 정도 운행을 하며 야생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다.
악어는 동네 개처럼 흔하게 보인다. 물 안에 나무가지가 떠있는 것처럼 보이는 물체가 있는데 잘 보면 악어가 눈과 코만 내밀고 있는 모습이다.
악어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휴식을 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운이 좋아야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이들은 눈앞에서 야생의 악어를 봐서 신기한 모습이다.
숙소로 돌아오는 길에 산책도 해봤다.
카카두 공원에는 위처럼 보이는 탑이 많이 보인다.
나무 밑둥처럼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마른 흙으로 올린 탑이고 꽤나 단단하다.
그리고 그 안에는 조그마한 구멍이 뚫려있고 그 안에는 개미가 돌아다닌다.
그렇다. 이 탑은 개미탑이다.
왜 개미가 땅 속에 집을 짓지않고 탑을 쌓았을까?
그 이유는 우기 때문이다. 우기에는 비가 몰려 오기 때문에 물이 급속도록 불어난다.
대부분의 도로는 침수가 되고 메마른 땅도 늪지로 덮인다.
이러한 우기에 개미는 땅 밑에 살 수 없다.
수장되지 않으려면 위로 집을 지을 수 밖에 없다.
개미탑의 높이가 어른 크기이니 우기 때 강수량이 얼마나 어머한지 짐작할 수 있다.
반응형
'Travel Diary > Austral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Darwin 캐서린 온천 & 닛밀룩 국립공원 (0) | 2018.10.19 |
---|---|
[호주] Darwin 리치필드 공원 & 플로렌스 폭포 (0) | 2018.10.19 |
[호주] Darwin 카카두 국립공원 3일차 Maguk 계곡, 바라문디 협곡, Mamukala 습지 (0) | 2018.10.18 |
[호주] Darwin 카카두 국립공원 1일차 Ubirr (0) | 2018.10.18 |
[호주] 시드니 1박 2일 여행 (0) | 2018.10.17 |